스마트폰의 보급 이후, 우리의 삶은 더욱 윤택해지고 넘쳐나는 정보 속에서 살아가고 있습니다. 과거에 당연히 있어야 한다고 생각하였던 자판은, 터치스크린에 융화되었고 모든 것은 터치로 동작되어, 여러분의 손 끝에서 새로운 세상이 열리게 되었습니다. 그리고 만인이 연결되는 페이스북, 트위터 등의 보급으로 우리는 현재 초연결시대에 살고 있습니다.
그러나, 스마트폰에 오랜 시간을 할애한 탓인지 건강 상의 문제가 발생하기 시작하였습니다. 눈 뿐 아니라 근육 및 신경도 병들게 한다는 통계를 찾아볼 수 있었습니다. 여러분께서는 이미 ‘시력을 위협하는 블루라이트’ 포스팅을 인하누리에서 보셨을 텐데요, 블루라이트로 인해 시력이 저하될 뿐만 오랜 기간 동안 전자파에 노출될 경우 비염, 불임 등의 위험이 높아진다는 사실도 최근에 보고되었습니다. 미국 생식의학회지에 소개된 연구에 따르면 휴대전화 전자파에 노출된 정자는 운동성과 생존력이 크게 떨어졌다는 사실을 확인할 수 있었습니다.
또한, 목 디스크 유발에도 심각한 영향을 끼침을 알 수 있었습니다. 한 매체에 따르면 목 디스크 환자는 스마트폰이 없던 2007년 약 57만 명에서 2011년에 78만 명으로 급증하였고 2014년에는 89만여 명으로 증가하였습니다. 2011년이 스마트폰의 보급 시점임을 감안할 때 스마트폰의 이용 시간과 ‘상관관계’가 있음을 알 수 있는데요, 스마트폰 등장한 지 약 5년이 지났을 뿐인데, 목 디스크 환자 수가 56% 늘어난 것입니다. 또한 중증도도 심해져 2014년에는 7만8000여 명에 달합니다.
2016년 1월 4일에 다음 TV팟에 업로드 된 MBC 뉴스의 [‘스마트폰 거북목, "정신도 병든다"] 보도에 따르면 스마트폰을 45도로 바라볼 때 고개를 숙이게 되면 목에 22kg에 달하는 하중을 받게 되면서 거북목 현상이 발생하게 되는데요, 최근 정신건강에도 나쁜 결과를 준다는 연구결과가 나왔습니다.
2015년 뉴질랜드 오클랜드 대학 연구팀에서는 구부정한 자세로 스마트폰을 사용하는 집단 A와 올바른 자세로 스마트폰을 사용하는 집단 B를 대상으로 자세 변화 심리 검사를 진행하였는데요, 집단 A의 경우 자존감은 약 15% 떨어졌으며 적극성도 10% 이상 급감하였으며 부정적인 단어를 집단 B에 비해 3배 이상 많이 쓰는 것으로 나타났습니다.
이병철 한강성심병원 교수는 “뇌 속 호르몬의 변화가 이 자세와 연관되어 있고, 안 좋은 자세가 안 좋은 기분과 직접적으로 연관이 된다.”며 올바른 자세로 스마트폰을 이용할 것을 권장하였습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시면 새창에서 해당 영상을 보실 수 있습니다.
거북목 현상이 더 심해질 경우, 목 디스크를 유발하게 됩니다. 따라서 목 디스크를 예방하려면 거북목 자세를 취하지 않는 것이 중요하며, 이를 위해서는 척추를 뒤로 젖혀 주는 매켄치 체조(Mckenzie exercise)를 해야합니다.
매켄지 체조는 서울대병원에서 동영상을 공개하였고, SNS를 통해 급속도로 퍼져나갔습니다. 사실상 예방운동법을 SNS로 확산시켜 2016년 초에 화제가 되었었는데요, 사실상 스마트폰으로 인한 건강의 악화도 결국 초연결시대의 쏟아지는 정보로 인해 어느 정도 예방을 하는데 도움을 주었다고 할 수 있습니다.
메킨지 운동은 서서하는 운동과 엎드려서 미는 운동으로 나눌 수 있습니다. 일상생활에서 누구나 쉽게 할 수 있는 운동법은 기립 운동이 되겠는데요, 앉거나 서서 고개를 젖히는 자세로서 허리를 활처럼 펴는 운동법에 대해 다루었습니다. 이 자세를 유지한 상태에서 고개를 뒤로 젖히고 천장을 5초간 쳐다보며, 15분마다 한 번씩 운동할 것을 권장하고 있습니다.
또한, 엎드려서 위로 미는 방법도 있습니다. 팔꿈치를 펴고 손으로 상체를 지탱해 머리를 올리되, 골반, 허리, 배를 아래로 붙인 상태에서 천천히 어깨를 올려야 합니다. 이 자세를 유지한 뒤 복식 호흡하며 천천히 어깨를 내리는 과정을 반복합니다. 보다 쉽게 따라하실 수 있도록 매켄지 체조 유튜브 영상을 첨부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시면 새창에서 해당 영상을 보실 수 있습니다.
위 영상은 매켄지 운동을 쉽게 따라할 수 있도록 일종의 가이드 영상입니다. 매켄지 운동을 어떻게 하는지 직접 보고 쉽게 따라할 수 있습니다.
끝으로, 초연결시대의 힘을 느끼게 하여 SNS에 많은 호응을 끌어올릴 수 있었던 서울대병원 강남센터 정선근 교수님의 ‘목디스크 매켄지 운동’ 영상을 첨부하겠습니다. 매켄지 체조 영상과 다르게 이 영상은 목 디스크의 예방 및 치료과정을 주로 다루는 강연 형식으로 되어있으며, 현장에서 촬영된 질의 응답에 대한 부분까지 시청을 할 수 있습니다. 목 디스크에 대한 두려움이 있거나 거북목 증후군에 대한 걱정이 있다면, 오늘부터 매켄지 체조를 꾸준히 하시는 건 어떨까요?
이미지를 클릭하시면 새창에서 해당 영상을 보실 수 있습니다.
'Life 仁 > 일상 이야기' 카테고리의 다른 글
인하인이여~잠깐 스트레칭해볼까요! (0) | 2016.05.30 |
---|---|
‘불의 고리’ 에서 잇따른 지진 강타 (0) | 2016.05.05 |
중간고사 공부로 지친 그대를 위한 봄. 꽃. 로맨틱 with 시 (0) | 2016.04.24 |
시력을 위협하는 블루라이트 (0) | 2016.04.13 |
4.13 국회의원 선거일, 가까운 투표 장소는? (0) | 2016.04.11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