인하누리를 구독해주시는 여러분 안녕하세요, 오늘은 인하대 내에서 맥을 사용하고 계신 분들에게 조금이나마 도움이 되고자 맥과 한글의 주제를 준비해 봤습니다. 인하대와 마이크로소프트의 계약으로 인해 오피스 365 제품은 무료로 사용할 수 있으나 학교에서나 학우분들이 많이 사용하는 파일의 형식인 hwp, 즉 한글을 사용하는 데는 제한된 서비스로 인해 맥에서 한글을 이용할 시 불편함이 있습니다. 레포트 작성 시 워드로 제출할 때는 수월하게 문서 작업을 할 수 있으나 한글로 제출할 때는 막막할 때가 많으실 것으로 예상합니다. 특히 맥용 Word 내에서 다른 포맷의 환경에 글을 붙여넣기 할 경우 띄어쓰기가 엉망이 되어 한글 문서로 변환하는 데 큰 어려움을 겪으실 겁니다.
다행히도 비즈니스 클라우드를 제공하는 여러 업체에서 서비스를 지속해서 발전시키고 있으며 한글과컴퓨터 또한 마찬가지로 우리나라 내에서 웹 전용 워드, 엑셀, 파워포인트 서비스를 시행하고 있습니다. 넷피스 24가 유료화로 되면서 맥 전용 한글 유틸리티를 무료로 사용할 수 없으나 온라인상에서 간단한 업무는 여전히 무료로 처리할 수 있습니다. 오늘은 이를 응용해 docx - hwp 간 변환을 조금이나마 쉽게 할 방법에 대해 알려 드리겠습니다.
대부분의 변환 서비스를 보면 docx - pdf 간 변환은 자유롭습니다. hwp 포맷의 양식 역시 pdf로 변환은 할 수 있으나 역의 과정은 거의 지원이 되지 않는다고 봐야 합니다.
그렇다면 어떤 방법을 써야 할까요? 결론부터 말씀드리자면 넷피스24를 이용해 해결해야 합니다. 유일하게 웹에서 구동되는 워드로 hwp, docx 양쪽의 문서가 호환되기 때문입니다. 아쉽게도 넷피스24 역시 웹에서 구동되는 워드에서 docx 문서만 제작할 수 있어 한글 문서를 편집하려면 사전에 hwp 파일을 구해 직접 올려야 하는 불편함을 감수해야 합니다.
1. hwp 확장자의 한글 파일 빈 문서를 넷피스24에 업로드 합니다.
2. 워드에서 작업한 docx 문서를 넷피스24에 업로드 합니다.
3. 업로드 한 docx 문서의 내용을 복사한 후 넷피스24 홈으로 돌아갑니다.
4. 처음에 업로드 하였던 한글 파일(빈 문서)에 3에서 복사한 내용을 붙여 넣습니다.
5. 웹 워드 특성상 수초 이내에 자동 저장이 됩니다. 필요한 경우에 따라 한글 파일을 다운로드 합니다.
1. 앱 스토어에서 한컴오피스 한글 2014 뷰어를 다운로드
(링크: https://itunes.apple.com/kr/app/hankeom-opiseu-hangeul-2014/id416746898?mt=12)
2. 한글 2014 뷰어 설치 후 넷피스24에서 편집하였던 한글 파일을 다운로드 받아 열람합니다.
만약에 여러분의 맥에 한글 2014 사용권이 없다고 하더라도 넷피스24의 클라우드에 저장된 한글 파일을 열어 내용을 수정하거나 편집할 수 있습니다. 정작 넷피스24에서는 바로 hwp 형식의 파일을 만들지 못하지만 일단 클라우드에 hwp 파일이 올라가 있는 상태라면 그 상태에서는 docx 문서를 편집하는 것과 마찬가지로 거의 같은 조건으로 문서작업을 할 수 있습니다. 한글과컴퓨터에서 서비스하는 부분인데 한글 사용자가 왜 이런 불편함을 감수해야 하는지 모르겠습니다. 하루빨리 개선되길 기대해봅니다.
윈도우에서는 한글과컴퓨터의 한글이 굉장히 강력한 문서편집 도구로써 사실상 거의 모든 맞춤법 교정이 가능해 유저에게 편의성을 제공합니다. 만약 윈도우 환경의 포맷에서 맥으로 넘어왔을 경우 맥 자체의 독특한 UI로 불편을 겪으실 뿐만 아니라 문서 편집의 고단함까지 이중고를 겪게 되실 수도 있습니다.
인하누리에서는 인하대 내에서 맥을 사용하는 여러분께 최대한 도움이 될 수 있도록 여러 가지 효율적인 활용 방법을 소개하고 있으며 맥에서 한글 교정을 하는 방법으로 마이크로소프트의 '비즈니스용 원드라이브'를 활용하는 방법을 소개한 바 있습니다. (http://inhanuri.tistory.com/1320)
비즈니스용 원드라이브는 간단한 단어의 맞춤법을 검사하기에 적합하나 문장의 비문을 교정하는 데는 무리가 있습니다. 맥 내에서 강력한 맞춤법 교정을 원하신다면 맥 내에 한국어 맞춤법 검사기 workflow를 설치(http://appletree.or.kr/safari-extensions/#ksc-workflow)하시길 바랍니다. 좌측 상단에 있는 다운로드를 클릭한 뒤 한국어 맞춤법 검사기 설치를 클릭하면 됩니다.
만약 맞춤법 검사를 조금 더 편하게 이용하기 위해서는 시스템 환경설정 – 키보드 – 단축키 – 서비스 – 텍스트 – 선택한 글의 한국어 맞춤법 검사하기에서 임의의 단축키를 설정하면 됩니다. 저는 Command + 1의 조합으로 구성을 하였습니다.
아래는 workflow 를 이용한 맞춤법을 검사하는 화면입니다.
------------------------------------------------------------------------------------------------------------------------
지금까지 맥에서 한글을 사용하는 데 조금이라도 도움이 될 수 있도록 글을 작성해봤습니다. 점차 늘어나는 맥 유저의 기대에 맞게 하루빨리 한글과컴퓨터의 조금 더 개선된 서비스와 애플에서 한글 맞춤법의 지원이 되었으면 좋겠습니다. 이을라 기존에 비즈니스용 원드라이브를 통해 한글 교정을 하고 계셨던 분들께도 상당히 유용한 정보로 생각되는데요, 조금 더 완벽한 한글 교정을 원하신다면 workflow를 사용해보시는 건 어떨까요?
'Zoom 仁 > 대학생활 이야기' 카테고리의 다른 글
2015 동계방학 해외지역 연구프로그램 & 설명회 (0) | 2015.10.31 |
---|---|
인하건전홍보대사 체인지 소개 (0) | 2015.10.28 |
인하대학교 CPA 고시반 소개 (0) | 2015.10.10 |
IPP 기업연계형 학기제 장기현장실습 제도 (0) | 2015.10.05 |
나를 스마트하게 만들어줄 수 있는 비즈니스 클라우드 3종 소개 (0) | 2015.10.05 |